2022. 11. 27. 00:14ㆍ정책
청년의 내 집 마련이란 현재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. 오늘은 서울시의 청년들에게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‘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?
대중교통의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에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안정과 주거난 해소를 위하여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주택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. 시세보다 저렴하게 주택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유형
- 공공임대 .: 서울도시공사(SH)
- 민간임대 : 민간 시행사 -> 특별공급(20%) / 일반공급(80%)
한 단지 내에 공공임대와 공공지원 민간임대의 세대가 혼합되어 있습니다.
임대료
청년주택의 임대료는 시세보다 저렴하며 임대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.
- 공공임대 : 주변시세 대비 30%
- 민간임대 : 주변시세 대비 85%~95%
공공임대가 더 저렴한 임대료를 받고 있기 때문에 공공임대가 금액적인 면에서 더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청년주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자격조건
만 19세 이상 ~ 만 39세 이하인 자
미혼
무주택자
자동차 무소유(생업용 제외)
자산가액 2억 8,800만원 이하
월 소득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20% 이하
거주 기간
최대 8년까지 거주할 수 있으며 임대 사업자와의 계약이 이루어질 경우 8년 이후에도 거주할 수 있습니다.
거주 위치 및 주택 확인
https://soco.seoul.go.kr/
soco.seoul.go.kr
역세권 청년주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모집공고로 들어가시면 집의 지역과 위치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신청방법
서울주택도시공사
www.i-sh.co.kr
SH인터넷청약시스템 : 주택임대 > 역세권 청년주택 > 인터넷 청약
신청 기간
모집공고마다 신청 기간이 따로 있기 때문에 원하시는 주택에 해당하시는 기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주거비 지원
청년들이 부담 가능한 수준으로 입주할 수 있게 임대보증금의 50%(최대 4,500만원)를 무이자로 지원한다고 합니다. 또한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하여 다양한 일자리와 청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.
요약
역 근처에 교통이 편한 주택을 마련하게 도와주는 정책으로 청년들에게 꼭 필요한 정책인 것 같습니다. 서울시에 사시는 청년과 신혼부부이시면 꼭 알아보시어 다양한 혜택을 얻으시길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'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과 자격, 재직자도 신청 가능해요 (0) | 2022.12.07 |
---|---|
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자격과 신청방법 총정리 ! (0) | 2022.12.03 |
경기도 청년 월세지원 자격조건과 신청방법을 알아보자 (0) | 2022.11.29 |
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과 자격 확인방법, 중도해지방법까지 ! (0) | 2022.11.24 |